외형편(外形篇)


 《동의보감(東醫寶鑑)》 외형편(外形篇)

《동의보감》은 내경편(內景篇, 내과 질환), 외형편(外形篇, 외과·피부 질환), 잡병편(雜病篇, 기타 질환), 탕액편(湯液篇, 약재 및 처방), 침구편(鍼灸篇, 침술 및 뜸 치료)의 다섯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이 중 외형편(外形篇)은 신체의 외부 형태와 관련된 질환을 다룬 부분으로, 피부병, 외상(타박상·골절·화상), 종기(종양), 이비인후과 질환, 안과 질환 등을 포함합니다.


1. 외형편의 주요 내용

외형편은 몸의 겉모습과 관련된 질환을 다루며, 머리에서 발끝까지의 신체 부위를 기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두면부(頭面部, 머리와 얼굴)

  • 두창(頭瘡, 머리에 생기는 종기나 습진) → 지루성 피부염, 두피 염증과 유사
  • 탈모(禿病, 머리카락이 빠지는 병) → 원형 탈모, 남성형 탈모
  • 안병(眼病, 눈 질환) → 결막염, 백내장, 녹내장, 안구건조증
  • 이병(耳病, 귀 질환) → 중이염, 난청, 이명(耳鳴, 귀에서 소리가 들리는 증상)
  • 구창(口瘡, 입병) → 구내염, 구강 궤양, 잇몸질환

(2) 경항부(頸項部, 목과 어깨)

  • 경항통(頸項痛, 목과 어깨 통증) → 목 디스크, 근육 긴장성 두통
  • 갑상선 종대(瘿病, 목이 부어오르는 병) → 갑상선 질환(갑상선기능항진증, 갑상선 저하증)

(3) 흉복부(胸腹部, 가슴과 배)

  • 유방 질환(乳癰, 유선염, 유방암 관련 증상)
  • 제창(臍瘡, 배꼽 주변의 염증) → 배꼽염
  • 복부 종괴(腹內積聚, 배 속에 덩어리가 생기는 병) → 복부 종양, 지방종

(4) 사지(四肢, 팔다리)

  • 타박상(跌打損傷, 넘어지거나 부딪혀 생긴 손상) → 멍, 염좌, 골절
  • 근육통(筋痺, 근육과 관절의 통증) → 류마티스 관절염, 근육통
  • 손발 저림(手足麻木, 손발 감각 이상) → 말초신경병증, 손목터널증후군

(5) 피부병(皮膚病)

  • 종기(癰疽, 피부에 발생하는 농양) → 종기, 화농성 염증
  • 습진(濕瘡, 피부가 가렵고 붉어지는 병) → 아토피, 지루성 피부염
  • 버짐(白癜風, 피부색이 하얗게 변하는 병) → 백반증
  • 버섯(黴瘡, 곰팡이 감염으로 인한 피부병) → 무좀, 피부 곰팡이 감염
  • 화상(燒傷, 불이나 뜨거운 물에 의한 상처) → 1~3도 화상 치료법 설명

(6) 항문·생식기 질환

  • 치질(痔疾, 항문에 발생하는 질환) → 치핵, 치루
  • 음부종기(陰部癰, 생식기 주변의 종기나 염증) → 성병, 곤지름

2. 외형편에서 다루는 치료법

외형편에서는 각 질환별로 한약 치료, 침구 치료, 외용약(바르는 약) 치료 등을 제시합니다.

(1) 한약 치료

  • 타박상·골절 → 접골탕(接骨湯), 활혈산어탕(活血散瘀湯)
  • 피부병(습진, 종기, 버짐 등) → 소풍산(消風散),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
  • 탈모 → 생발환(生髮丸), 자양환(滋養丸)
  • 이명(귀울림) →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2) 침구 치료

  • 눈병 → 정명(睛明), 풍지(風池), 합곡(合谷)
  • 귀 질환(이명, 난청) → 청회(聽會), 중저(中渚)
  • 타박상 → 혈해(血海), 위중(委中)
  • 피부병 → 곡지(曲池), 합곡(合谷)

(3) 외용 요법(바르는 치료법)

  • 종기 → 황백(黃柏), 연고제
  • 버짐·백반증 → 자초(紫草), 국화즙
  • 화상 → 들기름, 밀랍, 황련 가루

3. 현대적 의의와 활용

(1) 한방 피부과·외과의 기초

  • 《동의보감》 외형편은 한방 피부과, 외과, 이비인후과 치료의 기초가 됨
  • 예를 들어 습진·버짐 치료법은 현대 아토피 피부염 관리에도 참고됨

(2) 전통적 응급처치법의 현대적 해석

  • 타박상·골절 치료법은 현대 스포츠 의학에서도 활용 가능
  • 화상 치료법은 피부 재생 치료법과 유사한 개념 포함

(3) 전통 의학과 현대 의학의 협력 가능성

  • 한의학적 외치요법(外治療法)과 현대 피부과 치료법 병행 가능
  • 이비인후과·안과 질환 치료 시 한방 치료를 보완적으로 활용


4. 결론

《동의보감》 외형편은

  • 신체 외부에 나타나는 피부병, 외상, 종기, 화상, 이비인후과 질환, 안과 질환, 골절 등을 다루며,
  • 질환별로 한약, 침구 치료, 외용 요법(바르는 치료), 생활관리법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

현대적으로는 한방 피부과·외과·재활의학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의서이며,

현대 의학과의 협력을 통해 피부 질환, 외상 치료, 재활 치료 등에 응용 가능합니다.



Post a Comment